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중앙칼럼] K-돌풍, 한인 표심이 만든다

한인 선출직 공직자를 보유한 도시들에서 K-바람이 불고 있다.   풀러턴 교육구는 오늘(9일) 오후 5시 사상 최초의 중학생 대상 K-팝 경연대회를 부에나파크의 더 소스 몰에서 개최한다. ‘K-팝 배틀 오브 더 밴드(K-Pop Battle of the Bands)’란 이름의 대회는 여러모로 눈길을 끈다.   교육구는 지난해 가을학기부터 오렌지카운티 교육구 최초로 관내 중학생들이 참여하는 K-팝 배틀 오브 더 밴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한인과 타인종 학생 120여 명이 참가한 오디션에선 엄격한 심사를 통해 50명이 연습생으로 선발됐다.   이들은 한 달 동안 K-팝 노래와 댄스 마스터 클래스를 통해 최종 오디션을 대비했다. 이 단계에서 연습생들은 한국 문화와 춤, 악기 수업을 듣고 연습 후엔 한식을 즐겼다. 최종 오디션에서 심사위원단은 5개 학교를 대표할 밴드 멤버 25명을 선발했다. 각 5명으로 구성된 비치우드, 피슬러, 니콜라스, 팍스 중학교와 라데라비스타 예술중학교 밴드는 오늘 6개월간 연마한 실력을 발휘한다.   대회 결과는 중요하지 않다. 120여 명의 학생이 K-팝 경연대회 오디션에 몰렸다는 것, 교육구 측이 파격적으로 K-팝 경연대회를 연 사실이 중요하다.   풀러턴 교육구의 최근 행보는 한인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다. 교육구 측은 지난 2월 최수진 교사를 교육구 사상 최초의 한인 연락관으로 임명했으며, 최 교사가 한국어로 진행하는 한인 학부모 대상 워크숍 시리즈도 시작했다. 첫 워크숍은 한인 70여 명이 참석하는 성황을 이뤘다.   이런 변화의 배경엔 로버트 플렛카 교육감의 전향적 행보와 지난해 11월 풀러턴 교육구에서 한인으로서 처음 당선된 제임스 조 2지구 교육위원의 존재가 있었다. 조 교육위원은 취임 직후부터 교육구 측에 “한인 학부모가 교육구를 찾아오길 기다리지 말고 교육구가 한인 학부모를 찾아가야 한다”고 주장했고, 한인 연락관 임명 필요성도 강조했다. 사상 첫 한인 교육위원이 배출된 후 불과 몇 달 새 벌어진 변화를 보면 한인 선출직 공직자를 늘려야 할 당위성과 각급 선거에서 투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이유를 실감할 수 있다.   풀러턴의 K-바람은 프레드 정 시장이 2020년 1지구 시의원에 당선된 이후 불기 시작했다. 지난해 재선 이후를 합쳐 통산 3번째 시장을 맡은 정 시장은 한국의 지방자치단체들과 폭넓은 교류를 하며 풀러턴과 한국 도시들이 경제, 문화, 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상생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그 결과, 자매도시인 성남시는 풀러턴 다운타운에 관내 중소기업들의 대미 수출 전진기지인 K-비즈니스센터를 설립했다. 정 시장은 오는 8~9월 중 한국의 치맥 페스티벌을 풀러턴 주민에게 소개할 예정이다.    K-바람은 조이스 안 시장이 버티고 있는 부에나파크 시에도 불고 있다. 시 측은 한인 업소가 밀집한 비치 불러바드 일대를 부에나파크 코리아타운으로 명명했으며, 영어가 불편한 한인을 위해 코리안커뮤니티서비스와 함께 대규모 사회복지 박람회도 열고 있다. 시 측은 지난해 스미스 머피 공원을 우정의 공원으로 개명한 이후, 이 공원에 한국 전통문화를 상징하는 정자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부에나파크의 K-바람 또한 시의회 1지구에서 써니 박 전 시장에 이어 안 시장이 당선된 이후 점차 거세지고 있다.     어바인의 K-바람은 한인 시의원 존재 여부에 따라 그 세기가 달라졌다. 강석희, 최석호 시장과 태미 김 전 부시장이 재임하던 시기, 어바인에선 한인 마켓 오픈 소식이 잇따라 들려왔다. 어바인 한국문화축제도 성황을 이뤘고, 김 전 부시장은 OC에서 열린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도 지원했다.   오렌지카운티의 K-바람이 돌풍이 되려면 한인 선출직 공직자가 필요하다. 로컬 교육구, 정부 차원의 뒷받침이 있어야 제대로 바람이 불 수 있다는 것을 현실이 증명하고 있다. 한인 후보가 없으면 친한파 내지 지한파 타인종 후보를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어떤 방식이든 투표 참여는 필수다. 임상환 / OC취재담당·국장중앙칼럼 돌풍 한인 한인과 타인종 한인 학부모 한인 선출직

2025-04-08

4월1일 지방선거 실시 한인 다수 출마

시카고 일원 지방선거(Local Elections)가 4월 1일(화) 일제히 실시된다.     이번 선거는 타운십, 학교, 공원국 등 실생활에 직결되는 선출직을 뽑는 만큼 연방 선출직 못지 않게 중요한 선거로 한인 후보들도 다수 출마한다.     현재 3번째 임기를 지내고 있는 이진 교육위원은 메인타운십 207학군 교육위원 4선에 도전한다. 시카고 일원 한인 정치인 가운데 선출직 4선 도전은 이 위원이 처음이다. 메인타운십 207학군 교육위원은 총 5명 후보가 출마해 네 자리를 두고 경쟁하는데 이진 후보는 데일리 헤럴드지의 공식 지지(Endorsement)를 받는 등 당선이 유력하다.     최근 한인 인구가 증가하는 시카고 서 서버브 샴버그 타운십 서기(Schaumburg Township Clerk)직에는 대니얼 리(Daniel Lee∙이승훈)가 공화당 후보로 나선다.     지난 해부터 꾸준히 지역을 관리해온 이 후보는 “평범한 이웃을 위한 상식의 정치를 실현하겠다”며 지역 내 한인 및 아시안계의 지지만 있다면 당선은 충분하다며 유권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한국계 이지영(Jeannie Lee-Macatangay) 후보는 마운트 프로스펙트 트러스티직에 처음 도전한다. 3석의 트러스티직을 두고 5명이 출마한 상태인데 이 후보는 “커뮤니티에서 많은 봉사활동을 하면서 보람을 느꼈다. 커뮤니티에 더 많은 기여를 하고 싶은 마음으로 출마하게 됐다”며 한인 커뮤니티의 적극적인 지지를 당부했다.       이들 외 비키 정(Vicki Chung) 마운트 프로스펙트 214학군 교육위원 후보와 이주석(JooSerk Lee) 뉴트리어 203학군 교육위원 후보도 이번 선거에 출마하는데 이들은 모두 4명을 선출하는데 4명의 후보만 출마, 사실상 당선이 확정된 상태다.     한편 시카고 및 일리노이 주 한인 선출직으로 활동 중인 샤론 정(Sharon Chung) 91지구 주하원의원을 비롯 레이크 카운티 할리 김 재무관, 유이나(YeenaYoo) 듀페이지 카운티 2지구 위원(DuPage County Board District 2), 데이비드 고(David Ko) 나일스 타운십 219학군 교육위원 등은 내년 또는 2027년 선거에 출마하게 된다.   Luke Shin지방선거 한인 한인 선출직 한인 후보들 한인 커뮤니티

2025-03-31

[사설] 한인 정치력, 투표로 완성할 때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한인 선출직 공직자는 110명에 달한다. 이는 한인 사회의 정치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올해는 최초의 한인 연방 상원의원 앤디 김(민주·뉴저지)이 탄생한 역사적인 해다. 영 김(공화·가주), 매릴린 스트릭랜드(민주·워싱턴) 하원의원의 3선 성공, 데이브 민(민주·가주)의 하원 진출도 주목할 만하다.   한인 선출직 공직자 수는 10년 전과 비교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발표된 미주한인정치연감에 따르면 2010~2014년 39명에 불과했던 한인 당선자는 2020년 이후 71명으로 82% 급증했다. 지역별로는 뉴저지(42명), 캘리포니아(32명), 워싱턴(6명), 뉴욕(5명) 등에 집중됐다. 한인 인구가 8000여 명에 불과한 오클라호마에서도 대니얼 배 주하원의원이 선출되는 등 백인 텃밭에서도 한인들의 당선 희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한인 유권자의 정치 참여는 여전히 저조하다. 가주 한인 유권자 등록률은 45.4%로 2명 중 1명꼴도 안된다. 가주 전체 유권자 등록률(73%)보다 27%포인트나 낮다.     한인 한 표의 영향력은 크다. 지난해 어바인 시장 선거에서 태미 김 후보는 4728표 차로 아깝게 낙선했다. 그런데 투표하지 않은 한인 유권자가 6887명으로 표 차이보다 훨씬 많았다. 반면, 오클라호마의 배 의원은 2018년 첫 선거에서 단 42표 차로 당선됐다.   내년 가주에선 6월 예비선거와 11월 본선거가 예정돼 있다. 주지사를 포함해 LA에서는 시장과 홀수직 시의원 8명 등을 뽑는다. 온라인(https://covr.sos.ca.gov/ko/)에서 한국어로 간편하게 유권자 등록이 가능하다. 한인 단체들도 시니어들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한인 정치력 신장은 선출직 공직자 수 증가에 그쳐선 안 된다. 더 많은 한인이 유권자로서 참여해야 한인 사회의 목소리가 커지고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뒤 시행한 여러 정책들로 의식주 전반에 걸쳐 변화가 잇따르고 있다. 불평만 할지, 내 삶은 내가 바꿀지 선택은 한인들에게 있다.사설 정치력 한인 한인 정치력 한인 유권자 한인 선출직

2025-03-12

한인 여성 선출직 54년간 103명 배출

1950년대부터 한인 선출직이 미국에서 탄생한 가운데 여성 선출직 역시 1970년 엘러노어 김 차우 몬테벨로통합교육구 위원을 시작으로 꾸준히 배출됐다. 차우 위원은 1970년부터 1993년까지 해당 교육구 위원을 지냈다.   본지가 비영리재단인 코리안 아메리칸 인스티튜트(KAI·회장 마크 김)가 최근 발표한 미주한인정치연감을 분석한 결과 1950년대부터 2024년 현재까지 총 231명의 한인이 선출직으로 활동했다.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남성 128명, 여성 103명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022년 휘티어 데일리 뉴스에 실린 차우의 부고 기사에 따르면 그는 폐질환을 앓다 그해 7월 101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차우는 대학 재학 중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해 학교를 그만두고 한 은행에서 근무하게 됐다. 이후 한인으로는 처음으로 교육구 위원에 당선됐다. 부고 기사에 따르면 그의 한 동료는 차우를, “유치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더 나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지 평생을 헌신한 사람이었다”고 기억했다.   다음으로 선출된 한인 여성은 도나 메르카도 김이다. 그는 하와이주 하원의원(1982~1984), 호놀룰루 시의원(1986~2000), 하와이주 상원의원(2016~2020)을 지냈다. 여성으로는 최초로 주의회에 입성한 인물이다.   1990년부터 1994년까지는 재키 영이라는 여성이 하와이주 하원의원으로 활동했다. 2019년 2월 스타어드버타이저에 실린 부고 기사에 따르면 그는 뇌졸중으로 8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동료들은 “재키는 초창기 페미니스트 운동에 나선 핵심 인물이었다”며 “여성의 권익을 위해 앞장섰던 인물이었다”고 전했다.   마사 최라는 인물의 경력도 눈에 띈다. 그는 1992년부터 1999년까지 시애틀 시의원을 지냈다. 이후 워싱턴주 상무부에서 국장을 지냈고 2004년부터는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에서 활동했고 최고관리책임자(CAO) 자리까지 올랐다.   1990년대에 들어 한인 여성 선출직의 수가 점차 늘어나며 기존 서부와 하와이 지역에 국한됐던 정치인들이 동부에서도 나오기 시작했다. 미미 김 맥앤드류스(플로리다주 하원의원·1992~1994), 패티 김(펜실베이니아주 하원의원·2013~2024) 등을 동부 지역 주의회에 당선된 초창기 한인 여성 선출직으로 꼽을 수 있다.   2020년 선거에서는 한인 여성인 캘리포니아 공화당 소속 미셸 스틸과 영 김, 메릴린 스트릭랜드(워싱턴·민주)가 연방하원에 입성했고 연임에 성공, 모두 올 11월에 3선에 도전한다.   현역 연방 한인 정치인은 한인으로는 처음으로 연방상원의원에 도전하는 앤디 김 하원의원(뉴저지·민주)까지 총 네 명이다. 이들의 정치성향은 공화당 두 명과 민주당 두 명으로 균등하게 나뉘어 있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정치인 배출 한인 여성 한인 선출직 초창기 한인

2024-10-22

‘한인 당선인’ 10년<2014~2024> 새 80% 급증

  비영리재단인 코리안 아메리칸 인스티튜트(KAI·회장 마크 김)가 최근 발표한 미주한인정치연감〈본지 10월 21일자 A-1면〉을 분석한 결과, 한인 선출직 정치인의 수는 2000년대 이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0년대 초와 2020년대 초를 비교하면, 약 10년 새 한인 선출직 정치인은 80% 가까이 늘어났다.     먼저, 한인 선출직 정치인의 역사는 필립 민(하와이주 하원의원), 로버트 원배 장(하와이주 하원의원) 등이 배출되었던 1950년대부터 시작됐다. 이어 1960년대와 70년대, 80년대에 각 한 명씩 당선됐다.   한인 선출직 정치인은 1990년대 21명, 2000년대에는 38명으로 수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한다. 이때 한인 정치력의 비약이 상당 부문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2010년대에는 96명이 선출됐다. 이를 5년 주기로 나눠보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39명,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7명이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한인 사회의 정치력이 신장된 시기로 평가된다.   가장 최근 통계인 2020년부터 2024년까지는 총 71명이 선출됐다. 현재 한인 1.5세, 2세들의 정계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2010년대의 수를 쉽게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로 보면,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뉴욕·뉴저지 지역(110명)에서 가장 많은 한인 정치인이 배출됐고 캘리포니아(54명)가 뒤를 이었다. 워싱턴·오리건(21명) 등에서도 많은 한인 선출직 정치인이 배출됐다.지난 70년간 선출된 한인 정치인(총 231명) 중 약 70%가 한인 다수 거주 지역인 뉴저지와 캘리포니아 등에서 나온 셈이다.   흥미로운 점은 비교적 한인 인구가 적은 위스콘신(프란체스카 홍·주 하원의원), 미시간(훈영 호프굿·주 상원의원), 노스캐롤라이나(마리오 베너벤트·시의원), 코네티컷(킴벌리 피오레요·주 하원의원), 몬태나(이호 포메로이·커미셔너), 네바다(프란시스 앨런-팔렌스키·시의원), 오클라호마(대니얼 배·주 하원의원) 등에서도 한인 정치인이 한 명씩 선출됐다는 점이다. 미주리주(존 패터슨·에밀리 수 웨버·주 하원의원)에서도 두 명의 한인이 선출된 바 있다.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남성 128명, 여성 103명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근 LA시 공공사업위원회 커미셔너로 내정된 스티브 강은 “한인 이민 역사가 늘어가며 한인들의 정치력 신장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1.5세와 2세가 정치에 참여하는 나이가 되면서 더 많은 사람이 당선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오클라호마를 비롯한 비교적 시골인 지역에서도 한인들이 당선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한인의 수는 적어도 백인이 많은 지역에서 한인들이 당선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로컬 정부뿐만 아니라 시정부, 주정부, 연방의회 등 다양한 위치에 한인들이 선출되고 있고, 이는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덧붙였다.   KAI 자료에 따르면, 첫 한인 연방 하원의원은 김창준 의원(1993-1999)이다. 약 20년 후인 2019년에는 앤디 김 하원의원이 의정활동을 시작했다. 여성인 미셸 스틸, 영 김, 메릴린 스트릭랜드 하원의원 역시 2021년부터 의원직을 수행하고 있다. 앤디 김 의원은 올해 11월 선거에서 한인 최초로 연방 상원의원에 도전하고 있다.   여성으로 처음 선출된 한인 정치인은 엘레노어 김 차우다. 그는 캘리포니아주 몬테벨로 교육위원회에서 1970년부터 1993년까지 위원으로 활동했다. 하와이의 도나 메르카도 김은 1982년부터 1984년까지 주 하원의원, 1986년부터 2000년까지 호놀룰루 시의원,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주 상원의원을 지냈다.   한인 최초로 주정부 고위직에 오른 인물은 2022년 하와이 부지사직을 시작한 실비아 정 루크다. 가장 처음 시장직에 오른 사람은 1992년부터 2000년까지 뉴욕주 사라토가 스프링스 시장을 지낸 로널드 김이다.   관련기사 한인 주류정치 진출 70년…231명 선출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선출직 가주가 한인 선출직 가주가 압도적 한인 정치인

2024-10-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